하림

 로고

 로고

전체메뉴

뉴스룸

<트렌드 리포트> 푸드 트렌드 2025

변화하는 시장, 주목해야 할 키워드와 트렌드

2025-01-03


2025 푸드 트렌드 키워드는 농식품 및 유통 산업에서의 편중화·구획화이다. 편중화·구획화 현상은 마케터의 의도에 의해 시장이 세분화(segmentation)되고 타깃 마케팅된 것이 아니라, 소비자 선호와 행동, 외부적 요인에 의한 사회현상 등으로 인한 쏠림 현상이 나타나며 시장이 형성됐다는 의미다. 서울대학교 농경제사회학부 문정훈 교수가 과거 3년 대비 최근 1년 동안 변화된 식문화 트렌드, 최신 푸드 트렌드를 제시했는데 그 중 주목할 만한 몇 가지를 공유한다.

 

한국인의 섭취 데이터(양이 아닌 섭취 빈도)를 보니 지난 3년 대비 최근 1년간 한국인이 자주 섭취하는 일상식 메뉴는 일반 밥, 국탕류, 찌개류, 라면류, 김밥류, 돈육구이, 치킨, 식사빵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밥의 섭취 횟수, 빈도는 올라갔지만 양은 줄었다. 시간이 지날수록 생쌀 구매율이 줄고 밥 자체를 안 하는 세상으로 변하고 있다. 밥을 먹기는 하지만 다른 걸 섭취하면서 한 숟가락 뜨는 모양새라 즉석밥은 100g 이하, 저중량 제품이 늘 것이다. 생선구이의 섭취는 크게 감소하고 있는데 생선구이 자체가 끝난 게 아니라 간편식 생선구이, 외식 생선·해산물구이는 최근 증가 추세이다. 생선구이가 싫은 게 아니라 원물을 구매해서 집에서 구이를 해먹는 게 불편해서 감소하는 것이다. 국탕류에 대한 연령대별 섭취 추이를 살펴보니 50대 빼고는 국을 잘 안 먹는다. 찌개 역시 섭취량이 줄고 있는데 혼밥의 문화가 더 강하게 우리에게 오고 있다. 국탕류 보다는 곰탕류 같은 혼밥에 적합한 제품을 더 선호한다.

편의점은 계속 성장하고 있고 품질도 좋아지고 있다. 편의점 주요 고객이 20대일 거라 생각했지만 데이터는 달랐다. 주 고객층 분석을 해보니 여성들은 생각보다 구매하지 않았고 남성 40대가 메인 고객, 50대들도 무섭게 소비를 끌어올리고 있었다. 김밥과 주먹밥류의 메인 고객은 40대 남성, 도시락도 남성 50대와 40, 샌드위치도 남성 고 연령층이 높은 구매율을 보였다. 대부분의 품목에서 여성들은 거의 섭취하지 않는 형태가 나타났다. 버거류도 늦은 오후부터 밤에 남성 40~50대 가장 많은 소비가 이루어졌는데 주로 이동 많은 직군이 섭취한 것으로 보인다. 라이더, 운송직, 대리운전 등의 직군이 편의점 식사를 많이 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같은 세그먼트 구성을 마케터가 의도했을까? 그렇지 않다. 여러 사회 상황과 이런 저런 이유 때문에 구획화되고 편중화됐다.

지난 8년간의 장바구니 변화를 분석한 결과 농촌진흥청 수도권 소비자 패널의 식재료 구입 데이터를 분석한 자료를 보면 식물성 신선식품은 감소하고 동물성 신선식품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동물성 식재료 가운데서도 구매가 더 큰 폭으로 증가한 품목들이 있었는데 이들 품목의 특징은 바로 편의성이었다. 즉 닭 한 마리를 구매하기보다 손질과 조리가 편리한 다리와 가슴살 등 부위별 구매가 월등히 더 많이 늘었고 생선류도 횟감이나 손질 생선류 구매가 늘었다는 설명이다. 동시에 구매 채널에서도 오프라인은 줄고 온라인 비중 증가세가 뚜렷했다. 특히 축산물의 경우 오프라인에서의 실질 구매액은 이 기간 1.9% 감소한 반면 온라인에서의 실질 구매액은 253% 급증, 온라인 시장이 빠르게 성장해온 것으로 파악됐다.

이 외에도 간편식 시장, 페어링 트렌드에서도 특정 그룹의 소비자들이 특정 식품에 몰입해서 소비를 하고 있고 그게 식품 회사나 유통회사가 의도한 게 편중화, 구획화된 시장의 모습이 나타났다. 이 같은 경향은 더욱 심화될 것으로 보이는데 이런 현상이 의도치 않게 나타나는 것은 업계 입장에서 수익성으로 보아 그다지 좋은 일이 아니다. 시장의 새로운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선 식품의 성취방법별 주요 섭취 세그먼트에 대한 분석을 해야 한다.식품이 아니라 포맷을 싫어한다면 포맷을 변경, 경험 자체를 새롭게 설계하면서 취향에 맞는 구성을 만들어보는 고민, 좀 더 깊이 있는 전략을 통한 변화. 운영이 필요하다. 수많은 도전, 색다른 경험을 이어가면서 2025년 새로운 푸드트렌드를 자신 있게 맞이해보자.

 

 

미국 최대 유기농업체인 홀푸드마켓(Whole Foods Market)이 최근 202510대 식품 트렌드를 발표했다. K-푸드가 인기를 끌고 있는 상황에서 홀푸드의 트렌드 전망도 함께 고려하면 더욱 더 시너지를 낼 수 있을 것이다.

 

 

 

사내기자 | 김유리 대리